컴포넌트 2

Figma에 Cladue 연결해서 AI에게 디자인 생성해달라고 하기인데 이제 MCP를 곁들인…

오픈소스 과목에서 프로젝트 UI 디자인을 맡게 되었다.지금까지 개발자로만 이루어진 프로젝트를 하면서 항상 떠맡듯이 디자인을 맡아왔는데 이번에는 내가 자진해서 디자인을 해보고싶다고 했다. 그동안 디자인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동아리 내의 디자인 시스템인 Handy를 사용하면서 디자인에 관심이 생기기도 했고 요즘 핫하다는 MCP를 사용해서 디자인을 AI로 만들어내고 싶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자진해서 디자인을 해보고싶다고 했다. 그래서 오늘 할 건 Figma에 claude 연결하기!!일단 MCP에 관해 간단히 설명을 해보고 넘어가겠다. MCP(Model Context Protocol)란? MCP는 Model Context Protocol의 약자로, 대형 언어 모델(LLM)이 외부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

공부 기록 2025.04.09

[React/리액트] Controlled와 Uncontrolled 컴포넌트: 리액트에서 폼 입력 관리하기

리액트(React)에서 폼을 다루다 보면, "Controlled"와 "Uncontrolled" 컴포넌트라는 용어를 접할 수 있다.제어 컴포넌트 / 비제어 컴포넌트라고 다들 알고있을 것이다!이 두 가지 패턴은 입력 요소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React-Hook-Form 같은 걸 쓸 때 아무렇게나 쓰지 말고 잘 쓰기 위해서 Controlled와 Uncontrolled 컴포넌트의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사용 예시를 살펴보자. Controlled 컴포넌트Controlled 컴포넌트는 상태가 컴포넌트의 state에 의해 제어되는 입력 요소이다. 이러한 패턴에서는 입력 요소의 값(value)이 컴포넌트의 state에 저장되고, 입력 요소가 변경될 때마다 state가 업데이트된다.예시 코드i..

React 2024.06.29
728x90